for textmining

Convex Sets

|

이번 글에서는 Convex Set(볼록집합)과 관련된 개념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미국 카네기멜런대학 강의를 기본으로 하되 저희 연구실의 김해동 석사과정이 만든 자료를 정리했음을 먼저 밝힙니다. 영문 위키피디아 또한 참고하였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벡터 결합하기

벡터 $x_1$, $x_2$, …, $x_n$이 주어졌을 때 이들을 결합하는 것은 다음 세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Linear combination : $α_1x_1+…+α_nx_n$ ($α_i$는 실수)
  • Affine combination : $α_1x_1+…+α_nx_n$ ($Σ_iα_i=1$)
  • Convex combination : $α_1x_1+…+α_nx_n$ ($Σ_iα_i=1$이고, $0≤α_i≤1$)

affine combination에 대해 닫힌(closed) 집합을 Affine set이라고 합니다. 예컨대 벡터 $x_1$, $x_2$가 집합 $A$에 속해 있고, 이들의 affine combination 또한 $A$에 속할 때 $A$는 affine set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convex combination에 대해 닫힌 집합을 convex set이라고 합니다.

2차원 벡터 두 개(즉 $x_1$, $x_2$)를 세 가지 방식으로 결합해 각각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 linear combination 결과 $x_1$과 $x_2$를 포함하는 $R^2$의 평면이 생성(span)된다.
  • 2차원 공간의 affine set은 $x_1$과 $x_2$를 지나는 직선이다.
  • 2차원 공간의 convex set은 $x_1$과 $x_2$를 연결하는 선분이다.

벡터 $x_1$과 $x_2$의 affine set이 직선, convex set이 선분이 되는 것과 관련해서는 고1 수학 과정의 내분과 외분과 연관성이 있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다시 말해 벡터 앞에 붙는 계수의 부호가 중요하다는 이야기이죠.

Convex Set

convex set $C$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x$와 $y$가 $C$에 속한다면, $tx+(1-t)y$ 또한 $C$에 포함된다. ($0≤t≤1$)

직관적으로 따져보겠습니다. 어떤 집합 $C$에 속한 임의의 두 점을 골랐을 때 둘을 연결하는 선분 또한 $C$에 포함될 경우 $C$를 convex set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다음 도형은 convex set입니다.

다음은 convex set이 아닙니다. 아래 두 점을 잇는 선분의 일부가 해당 집합 바깥에 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다음은 convex set이 아닙니다. 임의의 두 점이 경계에 있을 경우 해당 점을 잇는 선분의 일부가 집합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Convex set의 종류

convex set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Norm ball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x_1, x_2$의 L2 norm, radius $y$에 대한 집합) $y$축을 기준으로 잘라보면 그 모양이 원 모양이고 볼록해 convex set을 만족하리라고 직관적으로 추론해볼 수 있습니다.

Hyperplane $a^Tx=b$ 위의 임의의 두 점 $x_1$, $x_2$ 사이를 잇는 선분은 다시 $a^Tx=b$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Hyperplaneconvex set입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Halfspace, Affine space 또한 convex set이 됩니다.

Polyhedro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며 그 예시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 {$x$|$Ax≤b$}

행렬 $A$에 벡터 $x$를 내적한 결과인 $b$는 벡터일 것입니다. 이를 잠시 다시 생각해보면 선형부등식 여러 개가 한꺼번에 적용된 거라고 보아도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행렬 $A$의 첫번째 벡터와 $x$를 내적한 결과는 벡터 $b$의 첫번째 스칼라값보다 작거나 같다’는 식으로 말이죠.

Polyhedron선형계획법(linear)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고 하는데요. 각각의 선형부등식이 제약식 역할을 수행하며 결과적으로 Polyhedron은 해당 제약 조건 하의 가능해(possible solutions) 영역이 된다는 것입니다. 어쨌거나 Polyhedron 또한 convex set입니다.

simplex는 삼각형 또는 사면체(tetrahedron)의 일반화 버전이라고 합니다. simplex 역시 convex set입니다.

convex set의 성질

convex set과 관련해 두 가지 중요한 정리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sepaating hyperplane theorem입니다. 두 개의 겹치지 않는(disjoint) convex set을 분리해주는 하이퍼플레인(hyperplane)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D$와 $C$를 가르는 벡터 $a$가 바로 그러한 역할을 하는 하이퍼플레인입니다.

단 여기에서 $D$와 $C$는 닫힌집합(closed set, 스스로의 경계를 모두 포함하는 위상공간의 부분집합)이어야 하며, 둘 중 하나가 유계집합(bounded set, 유한한 영역을 가지는 집합)이어야 합니다.

두번째는 supporting hyperplane theorem입니다. convex set의 경계 점을 지나는 접선이 항상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convexity를 보존하는 연산

convex set $C$와 $D$에 대해 다음 연산(operation)은 convexity를 보존합니다. 다시 말해 $C$와 $D$가 convex set이라는 사실이 증명돼 있고, 다음 연산을 수행한다면 연산 수행 결과로 나타난 새로운 집합은 별도의 증명 없이도 convex set이라는 겁니다.

  • intersection(교집합)
  • scaling and translation(스칼라곱, bias 더하기) : $C$가 convex set이라면 $aC+b$ 또한 convex set ($a,b$는 스칼라)
  • affine images and preimages : $f(x)=Ax+b$이고 $C$가 convex set이라면 $f(C)$ 또한 convex set, $f(x)=Ax+b$이고 $D$가 convex set이라면 $f^{-1}(D)$ 또한 convex set

이밖에 다음 연산도 convexity를 보존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