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textmining

Augmented Data Structure

|

이번 글에서는 Augmented Data Structure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고려대 김선욱 교수님 강의와 위키피디아를 참고해 정리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concept

Augmented Data Stucture란 기존 자료구조에 추가적인 정보를 저장해, 이를 바탕으로 계산효율성을 높이려는 자료구조의 일종입니다. 이진탐색트리(binary search tree), RB 트리 등 노드에 서브트리 노드의 개수 정보를 추가해 중위탐색(inorder traverse) 성능을 높이는 사례가 바로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진탐색트리, RB 트리에서 중위탐색에 소요되는 계산복잡성은 $O(n)$인데, Augmented Data Structure를 써서 $O(\log{n})$의 계산복잡성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OS-Select

OS-Select는 주어진 이진탐색트리에서 $i$번째 작은 값을 찾는 문제입니다(1번째 작은 값=최소값). 아래 그림과 같이 기존 이진탐색트리 노드에 자기 자신을 포함한 자식노드의 개수를 별도로 저장해 둡니다. 예컨대 아래 이진탐색트리에서 잎새노드는 자식노드가 없으므로 그 값이 1이 됩니다. $F$에 해당하는 노드는 자식노드 2개에 자기 자신까지 해서 그 값이 3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C$ 노드는 왼쪽 서브트리의 노드 1개, 오른쪽 서브트리의 노드 3개, 자기 자신, 이렇게 총 5가 됩니다.

예컨대 위 트리에서 6번째 작은 값을 찾는다고 칩시다. 이진탐색트리는 각 노드에 해당하는 값이 왼쪽 자식노드보다는 크고 오른쪽 자식노드보다는 작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어진 이진탐색트리 루트노드의 왼쪽 서브트리 노드 수가 5개이므로, 위 트리에서 6번째 작은 값은 루트노드 $M$이 됩니다(case 1).

이번엔 4번째 작은 값을 찾아 봅시다. 루트노드의 왼쪽 서브트리 노드 수가 5개이므로, 우리가 찾고자 하는 값은 루트노드의 왼쪽 서브트리에 속해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루트노드의 왼쪽 자식노드를 루트로 하는 새로운 서브트리 가운데 4번째 작은 값이 우리가 찾는 값이 됩니다(case 2이고 OS-Select($C$, 4) 재귀 호출).

이번엔 8번째 작은 값을 찾아 봅시다. 루트노드의 왼쪽 서브트리와 루트노드를 포함한 노드 수가 6개이므로, 우리가 찾고자 하는 값은 루트노드의 오른쪽 자식노드를 루트로 하는 새로운 서브트리 가운데 2번째(8-6=2) 작은 값이 됩니다(case 3이고 OS-Select($P$, 8-6) 재귀 호출).

이를 의사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x: 주어진 이진탐색트리의 루트노드
# i: i번째 작은값의 i
OS-Select(x, i):
	r = x.left.size + 1
	# case 1
    if i == r:
		return x
    # case 2
	elif i < r:
		return OS-Select(x.left, i)
	# case 3
    else:
		return OS-Select(x.right, i-r)

# 최초 시작은 루트노드에서
# 이후 재귀적으로 함수 호출
OS-Select(T.root, i)

OS-Select는 최악의 경우에도 루트노드에서 잎새노드까지의 경로만을 탐색하게 됩니다. OS-Select의 계산복잡성은 트리 노드수가 전체 $n$개일 때 트리의 높이($\log{n}$)에 비례한다는 얘기입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계산복잡성은 $O(\log{n})$이 됩니다.

OS-Rank

OS-Rank는 주어진 이진탐색트리에서 $x$가 몇 번째로 큰 값인지 알아내는 문제입니다. OS-Select와 마찬가지로 기존 이진탐색트리에 자기 자신을 포함한 자식노드의 개수를 별도로 저장해 둡니다. 아래 그림은 OS-Select 때 예시로 든 것과 동일합니다.

이진탐색트리에서 각 노드의 rank는 왼쪽 서브트리의 노드 수가 중요합니다. 예컨대 몇 번째 큰 값인지 알고자 하는 노드가 $F$라고 칩시다. $F$의 rank는 다음과 같이 분리해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F와 F의 왼쪽 서브트리 : 1+D의 값(1)
  • C와 C의 왼쪽 서브트리 : 1+A의 값(1)
  • F의 rank = 2+2 = 4

이를 의사코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코드에서 y.p.left.sizey 노드 부모의 왼쪽 서브트리 노드의 수를 가리킵니다.

# T : 이진탐색트리
# x : 몇 번째 큰 값인지 알고자 하는 노드
OS-Rank(T, x):
	r = x.left.size + 1
	y = x
	while y != T.root:
      	# 위 그림 기준으로 C, F가 
        # 각각 부모노드, 오른쪽 자식노드인지 확인
		if y == y.p.right:
          	 # 기존 rank에 더해
             # 왼쪽 서브트리 + 자기 자신 반영
			r = r + y.p.left.size + 1
		y = y.p
	return r

OS-Rank는 최악의 경우 잎새노드에서 시작해 루트노드까지 올라가며 랭크를 계산합니다. OS-Rank 역시 계산복잡성은 $O(\log{n})$이 됩니다.

subtree 크기 업데이트

지금까지 설명해드린 OS-Select, OS-Rank를 무리없이 구현하려면 각 노드별로 서브트리 노드 수를 반영해 주어야 합니다. 트리를 build할 때는 물론 새 노드를 insert, 기존 노드를 delete할 때마다 서브트리의 노드 수가 바뀌게 됩니다.

우선 insert를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이진탐색트리의 노드 삽입은 잎새에서 이루어지고, 이 잎새에서 루트에 이르는 경로에만 subtree 숫자들이 바뀌기 때문에 최대 트리의 높이에 해당하는 노드들에 대해서만 노드 수 업데이트를 해주면 됩니다($O(\log{n})$). 물론 RB 트리와 같이 삽입 과정에서 rotation이 이뤄지는 경우도 상정해볼 수는 있겠지만 아래처럼 상수시간 내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계산복잡성을 지배하지 않습니다.

한편 delete로 인한 subtree 크기 업데이트에 대한 계산복잡성도 $O(\log{n})$이라고 합니다.

interval tree

interval tree란 각 노드의 값이 구간(interval)인 이진탐색트리인 자료구조를 가리킵니다. 여기에 (1) 해당 노드 구간의 상한 (2) 해당 노드 왼쪽 서브트리의 값 가운데 최대값 (3) 해당 노드 오른쪽 서브트리의 값 가운데 최대값 등 세 가지 가운데 최대값을 각 노드에 구간 정보와 별도로 저장해 놓습니다. 예컨대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우리가 알고 싶은 값은 특정 구간이 주어졌을 때 위 interval tree에서 겹치는 구간이 있는지, 있다면 어느 구간이 겹치는지 정보입니다. 예컨대 위와 같은 트리에서 [14, 16]이 겹치는지 알아보고 싶다고 칩시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알고 싶은 구간의 하한 14와 루트노드의 왼쪽 자식노드(18)를 비교합니다. 작으므로 루트노드의 왼쪽 자식노드로 갑니다.
  • 알고 싶은 구간의 하한 14와 루트노드의 왼쪽 자식노드의 왼쪽 자식노드(8)를 비교합니다. 크므로 루트노드의 왼쪽 자식노드의 오른쪽 자식노드로 갑니다.
  • 알고 싶은 구간의 하한 14와 루트노드의 왼쪽 자식노드의 오른쪽 자식노드의 왼쪽 자식노드(10)를 비교합니다. 크므로 루트노드의 왼쪽 자식노드의 오른쪽 자식노드의 오른쪽 자식노드로 가야 합니다. 그런데 [15, 18] 이 노드는 자식노드를 가지지 않고, [14, 16]과 그 구간이 겹치므로 [15, 18]을 결과값으로 반환합니다.

interval-search의 의사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Interval-Search(T, i):
	x = T.root
	while x != T.nil and i does not overlap x.int:
		if x.left != T.nil and x.left.max >= i.low:
			x = x.left
		else:
			x = x.right
	return x

원하는 결과를 찾기 위해 최악의 경우 루트노드에서 잎새노드에 이르기까지 탐색하게 됩니다. interval-search의 계산복잡성 또한 $O(\log{n})$이 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