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

밑바닥부터 이해해 보는 Transformer

The Bottom-up Evolution of Representations in the Transformer는 트랜스포머의 내부 작동 원리를 고찰한 논문입니다. 2019년 EMNLP에 소개됐습니다. 다양한 시각에서 트랜스포머를 살펴보며 시각화가 정말 잘 되어 있어서 좋습니다. 논문도 훌륭하지만 저자가 직접 논문을 소개한 블로그 포스팅도 참고할 만 합니다. 이 포스팅의 모든 그림은 저자 논문이나 블로그를 참조한 것입니다.

Table of contents

  1. MT, LM, MLM
  2. Mutual Information
  3. Distance between tasks
  4. Amount of change
  5. Amount of influence
  6. MLM은 토큰 정보를 잘 보존한다
  7. MT는 토큰 위치 정보를 잘 보존한다

MT, LM, MLM

트랜스포머를 학습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기계 번역(Machine Translation), 언어 모델(Language Model), 마스크 언어 모델(Masked Language Model)이 바로 그것입니다. 기계 번역 모델은 소스 언어 문장을 타겟 언어 문장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학습합니다. 언어 모델은 이전 단어들로 다음 단어를 맞추는 태스크를 수행합니다. 마스크 언어 모델은 마스크된 토큰을 맞추도록(복원하도록) 설계됐습니다.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표1 태스크별 모델의 수행 내용

Machine TranslationLanguage ModelMasked Language Model

Mutual Information

논문 저자들은 MT, LM, MLM 각각의 학습 방식이 모델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고찰합니다. 이와 관련해 저자들은 상호정보량(Mutual Information)이라는 지표를 사용합니다. 상호정보량이란 두 확률변수가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수치화한 것입니다. 두 확률변수가 완전히 독립인 경우(사건 A가 일어나는 것이 사건 B가 일어날 확률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그 역도 마찬가지) 그 값은 0이 되고, 둘이 서로 밀접한 관련(사건 A가 일어날수록 B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이 있을 경우 커지고, 역의 방향으로 관련이 있을 경우(사건 A가 일어날수록 B가 일어날 확률이 낮아진다) 값이 작아집니다.

저자들은 다음 그림과 같이 입력 토큰 벡터들($\mathbf{X}$)과 트랜스포머 레이어별 출력 벡터들($\hat{\mathbf{X}}$) 사이의 상호정보량을 계산했습니다. 물론 트랜스포머 같이 방대한 네트워크에서 $\mathbf{X}$와 $\hat{\mathbf{X}}$의 분포와 상호정보량을 구하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저자들은 근사치를 구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논문 참고).

표2 입력 토큰 벡터들과 트랜스포머 출력 벡터 간 상호정보량

언어모델(LM)의 경우 레이어가 거듭될 수록 $\mathbf{X}$와 $\hat{\mathbf{X}}$ 간 상호정보량이 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높은 레이어일 수록 $\hat{\mathbf{X}}$가 $\mathbf{X}$와 관련이 없어진다, 혹은 $\mathbf{X}$의 정보를 잊는다(forget)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언어 모델은 이전 토큰 정보를 입력 받아 다음 토큰을 예측해야하기 때문에 높은 레이어에서는 입력 토큰과는 관계 없는 정보를 생성해야 할 것입니다. 이 점을 고려하면 당연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마스크 언어 모델(MLM)의 경우 상호정보량이 떨어졌다가 다시 복원되고 있는 점을 볼 수 있습니다. 마스크 토큰을 원래 토큰으로 복원해야 하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저자들은 MLM에서 상호정보량이 떨어지는 구간을 context encoding, 다시 오르는 과정을 token reconstruction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Distance between tasks

저자들은 태스크별 $\hat{\mathbf{X}}$의 거리 역시 측정해 봤습니다. 거리 지표는 Projection Weighte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PWCCA)라는 걸 사용했습니다. 다음 그림에서 점선 지표들은 같은 태스크로 학습했지만 랜덤 초기화 지점이 다른 두 모델 간 거리를 나타냅니다. 같은 태스크를 수행했기 때문에 태스크가 다른 모델과 비교해보면 거리가 가까운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연한 결과입니다.

표3 태스크가 다른 모델 간 거리 측정 방법과 그 결과

위의 그래프를 보면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기계 번역(MT)과 마스크 언어 모델(MLM)이 가깝다.
  • 언어 모델(LM)과 기계 번역(MT)이 멀다.

그 이유로 저자들은 두 가지 점을 언급했습니다. 첫째 언어 모델(LM)은 예측시 이전 컨텍스트 정보를 쓰지만, 기계 번역(MT)과 마스크 언어 모델(MLM)은 문장 전체 정보(MT=소스 문장, MLM=입력 문장)를 활용합니다. 둘째 기계 번역(MT)과 마스크 언어 모델(MLM)은 토큰을 예측하거나 번역하기 위해 개별 토큰에 집중하는 반면, 언어 모델(LM)은 다음 토큰을 예측하는 데 필요한 representation을 생성하는 데 강조점을 둡니다.


Amount of change

저자들은 레이어별로 representation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측정했습니다. 레이어별 토큰 벡터들 간 PWCCA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말이죠.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표4 토큰 representation의 레이어별 변화량

기계 번역(MT)과 언어 모델(LM)을 보면 고빈도 단어들이 레이어별로 변화량이 크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언어 모델의 경우 5번째-6번째 레이어 간 변화량이 일정 수준으로 수렴하고 있는데요. 언어 모델 최상단 레이어에서는 과거 정보를 이해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토큰을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 토큰이 고빈도이건 저빈도이건 상관없는 경향을 보이는 듯 합니다. 마스크 언어모델은 Mutual Information에서 살펴봤듯 저빈도 단어들에 한해 그 경향성을 두 개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Amount of influence

저자들은 동일한 레이어에서 특정 토큰이 다른 토큰에 미치는 영향력도 평가해보고자 했습니다. 그 얼개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예컨대 a라는 단어의 영향력을 계산해본다고 합시다. 그러면 다음 그림 왼쪽에서처럼 평소대로 트랜스포머 블록을 계산합니다. 그리고 오른쪽에서처럼 해당 단어를 뺀 채로 계산합니다. 이후 문장 내 단어들(I, saw, cat) 전체를 대상으로 왼쪽-오른쪽 계산한 벡터들 간 PWCCA 거리의 합을 amount of influence로 보는 방식입니다.

표5 토큰 representation의 영향력 측정 방법

표6 토큰 representation의 영향력

위 그래프는 이 방식대로 계산한 것입니다. 저빈도 단어들의 영향력이 고빈도 단어들보다 큰 경향을 보입니다. 기계 번역(MT) 모델과 언어 모델(LM)의 경우 초기 레이어에서 저빈도 단어들의 영향력이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저빈도 단어들이 해당 태스크 수행에 있어 정보량이 크다는 걸 뜻합니다.

반면 마스크 언어 모델(MLM)은 저빈도 단어라 할지라도 그 영향력이 두드러지게 크지는 않습니다. 저자들에 따르면 기계 번역과 언어 모델 태스크를 수행할 때 랜덤으로 다른 토큰을 대체하거나 빼는 token dropout을 수행하게 되면 마스크 언어 모델과 같은 경향성을 보인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해 저자들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습니다.

  • the training procedure of MLM, with masking out some tokens or replacing them with random, teaches the model not to over-rely on these tokens before their context is well understood.

MLM은 토큰 정보를 잘 보존한다

다음 그래프를 만드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특정 토큰(일종의 쿼리 역할) representation과 PWCCA 거리가 가장 가까운 50개 단어를 취합니다. 이 50개 리스트 가운데 쿼리 역할을 한 토큰이 있으면 맞춘 것으로 보고 accuracy를 올립니다(동음이의어일 수도 있고 같은 단어가 다른 문장에서 나타난다면 또다른 representation이 되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실험 세팅입니다). accuracy가 높다는 것은 해당 representation에 토큰 정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걸 방증합니다. 마스크 언어 모델(MLM)이 비교적 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표7 태스크별/레이어별 토큰 정보량 변화

다음은 is, are, were, was가 포함된 다수의 문장의 태스크별, 레이어별 representation을 t-sne이라는 기법으로 시각화한 것입니다. 다음 그림의 색상은 각 단어, X축은 레이어를 의미합니다. 마스크 언어모델(MLM)이 다른 태스크 대비 개별 토큰 정보를 잘 보존(linearly seperable)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위의 그래프와 같은 경향성을 보입니다. 해당 토큰을 그대로 복원해야 하는 태스크를 수행하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표8 태스크별/레이어별 토큰 representation 시각화


MT는 토큰 위치 정보를 잘 보존한다

다음 그래프를 만드는 방식은 이렇습니다. 특정 토큰(쿼리 역할)의 representation을 다수 취합니다. 해당 representation과 PWCCA 거리가 가장 가까운 $k$개 토큰을 각각 계산합니다. 쿼리 역할을 하는 토큰의 위치(position)과 이들 $k$개 토큰의 위치 사이의 거리(차)의 평균을 구합니다. 이렇게 구한 position distance가 작다는 것은 그만큼 쿼리 역할을 하는 토큰의 위치와 $k$개 토큰의 위치가 비슷하다, 즉 해당 토큰 representation에 위치 정보가 잘 녹아 있다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 그래프를 보면 기계 번역(MT) 모델의 position distance가 가장 작습니다.

표9 태스크별/레이어별 토큰 위치 정보량 변화

다음 그림은 it이라는 토큰의 representation들을 t-sne로 시각화한 것입니다. it이라는 단어는 다양한 문장, 위치에 등장 가능하기 때문에 이렇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짙은 색상일 수록 position index가 크다는 뜻이며 X축은 레이어를 가리킵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확인했던 것처럼 기계 번역 모델이 레이어가 거듭되더라도 위치 정보를 비교적 잃지 않고 있습니다. 기계 번역 태스크에선 소스 토큰의 위치 정보가 다른 태스크 대비 상대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 아닌가 합니다.

표10 ‘it’의 태스크별/레이어별 representation 시각화


토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