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textmining

한국어의 어휘상

|

이번 글에서는 한국어의 상(aspect)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고려대 정연주 선생님 강의와 ‘한국어문법총론1(구본관 외 지음, 집문당 펴냄)’을 정리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상’이란

상이란 어떤 사태의 내적 시간 구성을 가리키는 문법 범주입니다. 한국어의 상에는 문법형태소로 표현되는 문법상(grammatical aspect), 동사 어휘로 나타나는 어휘상(lexical aspect)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어휘상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 역시 고려대 정연주 선생님 강의와 한국어문법총론(구본관 외 지음)을 정리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어휘상

한국어의 어휘상은 어떤 어휘가 상적 특성을 구성하는 자질을 어떻게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분류됩니다. 그 자질로는 상태성, 순간성, 완성성 등이 있습니다.

[+상태성] :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상태성] : 행위나 작용을 나타내는 동사

[+순간성] : 해당 어휘가 나타내는 행위나 작용이 순간적으로 이뤄질 때

[-순간성] : 행위나 작용이 천천히 이뤄질 수 있을 때

[+완성성] : 행위나 작용이 다 끝나야 해당 어휘의 의미가 성립할 때

[-완성성] : 행위나 작용이 끝나지 않아도 의미가 성립할 때

한국어 어휘상의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범주 사례 자질
상태 동사 높다, 낮다, 작다… [+상태성, -순간성, -완성성]
과정 동사 걷다, 읽다, 울다… [-상태성, -순간성, -완성성]
완성 동사 닫다, 눕다, 먹다… [-상태성, -순간성, +완성성]
순간 동사 죽다, 차다, 잡다… [-상태성, +순간성, +완성성]
심리 동사 믿다, 느끼다, 알다… [-상태성, -순간성, -완성성]

과정 동사는 제한적 시간의 폭을 나타내는 ‘한 시간동안’과 같은 부사구와 아주 잘 어울리나 심리 동사는 그러한 말과 잘 어울리지 않습니다. 심리 동사는 형식적으로는 동사이지만 의미적으로는 상태의 지속성을 나타내는 형용사에 가까워 이러한 특성이 생긴 것입니다.

완성 동사와 순간 동사는 순간성 자질이 앞뒤 맥락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예컨대 다음과 같습니다.

(1) 완성 동사이나 [+순간성] : 문을 쾅 닫았다

(2) 순간 동사이나 [-순간성] : 그 개는 서서히 죽어갔다

어휘상은 앞뒤 맥락에 따라 달리 해석될 여지가 있는 유동성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동사의 어휘상을 다룰 때는 목적어나 부사어와 함께 전체 동사구의 상을 고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렇게 고찰된 상적 의미를 상황유형(situation type)이라 합니다.

문법상과 어휘상의 연관성

상(문법상)은 어휘상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어휘 자체의 상적 의미와 상의 문법적 표현이 잘 어울려야 통사적 구성을 이룰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 예문을 보겠습니다.

(A) 진행상 : 순희가 공원을 걷고 있다

(B) 완료상 : 명희가 볼펜을 쥐고 있다

(A)의 ‘걷다’는 과정 동사입니다. 따라서 ‘-고 있다’가 결합하면 진행상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러워집니다.

이에 반해 (B)의 ‘쥐다’는 순간 동사입니다. 따라서 ‘-고 있다’가 결합할 때 진행상의 의미로 해석하기 어렵게 됩니다.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행위는 시간의 폭이 너무나 짧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B)의 ‘-고 있다’는 완료상으로 해석하게 됩니다.

다른 예문을 보겠습니다.

(ㄱ) 철수가 눈을 깜빡이고 있다

(ㄴ) 아이들이 공을 차고 있다

‘깜빡이다’와 ‘차다’는 모두 순간 동사입니다. 그리고 이들의 행위는 행위의 결과가 남지 않는 동사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원칙적으로는 진행상의 ‘-고 있다’도 쓸 수 없고 완료상의 ‘-고 있다’도 쓸 수 없어야 합니다.

그러나 (ㄱ), (ㄴ) 모두 말이 됩니다. (ㄱ)은 반복적 행위를 뜻하고 있습니다. (ㄴ) 역시 어떤 아이가 딱 한 번 공을 찼을 때 ‘공을 차고 있다’라고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반복적 행위를 뜻함을 알 수 있습니다. 반복적 행위는 행위의 지속성과 의미가 상통하기 때문에 진행상의 ‘-고 있다’와 어울려 쓰일 수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문법상과 어휘상의 어울림은 상황 맥락에 따른 미세한 시간 해석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