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textmining

한국어의 피동 표현

|

이번 글에서는 한국어의 피동 표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은 고려대 정연주 선생님 강의를 정리했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태(態)

태(態, voice)의미역이 문법적 관계로 실현되는 방식을 가리키는 문법범주입니다. 동사에 붙는 문법적 표지(예컨대 어미)로 표시됩니다. 와 관련해 행위자, 피행위자의 두 참여자를 갖는 사태가 문장으로 표현될 때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능동문입니다. 한국어의 일반적인 문장 연결규칙에 따라 행위자가 주어로, 피행위자가 목적으로 실현되는 문장입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두번째는 피동문입니다. 능동문에서 행위자, 피행위자 등장 순서에 역전이 일어나고, 동사에 이것을 알리는 표지(예문에서는 -히-)가 붙은 문장입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 도둑이 (경찰에게) 잡다.

위 예문에서 살펴볼 수 있듯, 능동문을 피동문으로 바꾸는 데(즉 가 바뀌는 데) 아래 세 절차를 따릅니다.

  1. 능동문의 목적어는 피동문의 주어가 된다.
  2. 능동문의 주어는 부사어로 나타나거나 생략된다.
  3. 동사의 형태가 바뀐다.

한편 피동문의 정의상(능동문의 목적어가 피동문의 주어가 됨) 타동문(목적어를 가진 문장)으로부터만 피동문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피동 표지

한국어 피동문 동사에 붙는 피동 표지는 크게 ‘접미사’와 ‘보조동사구성’이 있습니다. 차례대로 살펴보겠습니다.

접미사에 의한 피동 표현

피동 접미사는 -이/히/리/기-가 있습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보- → 보-
  • 먹- → 먹-
  • 들- → 들-
  • 믿- → 믿-

그러나 한국어의 모든 동사가 위와 같은 피동접미사를 취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종류의 동사에는 -이/히/리/기-가 붙을 수 없습니다.

  • 수여 동사 : 주다, 받다, 드리다, 바치다 등
  • 수혜 동사 : 얻다, 잃다, 찾다, 돕다, (은혜를)입다, 사다 등
  • 지각 동사 : 알다, 배우다, 바라다, 느끼다 등
  • 대칭 동사 : 만나다, 닮다, 싸우다 등
  • 좋아하다, 슬퍼하다, 사랑하다, 공부하다, 조사하다 등
  • 모든 사동사

접미사에 의한 피동표현에서 능동문에서 주어였던 것은 어떻게 표시가 될까요? 유형별로 살펴 보겠습니다.

  • 유정 명사인 경우 ‘-에게’ :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 무정 명사인 경우 ‘-에’ : 흰 눈이 온 들판을 덮었다. → 온 들판이 흰 눈에 덮였다.

  • 능동문에 이미 ‘-에게’나 ‘-에’가 있는 경우에는 ‘-에 의해(서)’

    김 씨가 박 씨에게 집을 팔았다. → 집이 {*김 씨에게, 김 씨에 의해} 박 씨에게 팔렸다.

    도둑들이 보물을 강 밑에 묻었다. → 보물이 {*도둑들에게/도둑들에 의해} 강 밑에 묻혔다.

그러나 예외도 상당히 많습니다. 아래 예문은 유정 명사에 해당해 ‘-에게’를 써야 할 것 같지만, ‘-에 의해(서)’가 자연스러운 표현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진이가 종이를 찢었다. → 종이가 진이{*에게/에 의해} 찢겼다.
  • 진이가 전화를 끊었다. → 전화가 진이{*에게/에 의해} 끊겼다.

보조동사 구성에 의한 피동표현

다음과 같이 보조동사 구성 -어지-로 피동 표현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 만들- → 만들어지-
  • 이루- → 이루어지-

피동 보조동사 구성 -어지-는 피동 접미사에 의한 피동 표현이 불가능한 경우에 그 빈 자리를 메워 주는 구실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동문이 주로 이 방식으로 피동문을 만듭니다.

  • 의견이 좁혀지다.
  • 사실이 밝혀지다.
  • 대회가 늦추어지다.
  • 얼룩이 지워지다.

피동 접미사가 붙을 수 있는 동사에도 -어지-가 연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나뉘다-나누어지다
  • 닫히다-닫아지다
  • 믿기다-믿어지다
  • 쓰이다-써지다
<참고>
위 예문의 '쓰이다'는 동사 '쓰다'에 피동 접미사 '-이-'가 붙은 형태입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예) 철수가 비석에 제작 경위를 썼다(주동문) → 비석에 제작 경위가 쓰여 있었다(피동문)

그런데 이와 별개로 타동사의 목적어가 주어가 되면서 타동사에 '-어 있-'이 결합하면 결과상(과거 사태의 결과가 지속됨)을 나타낼 수 있었습니다. 이런 방식이 중세 국어에서는 꽤 생산적이었습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예) 비석 제작 경위가 써 있었다. (제작 경위를 쓴 결과가 지속됨)
예) 벽에 글씨가 써 있다. (글씨를 쓴 결과가 지속됨)
예) 방에 불이 켜 있다. (불 켜진 상태가 지속됨)

보조동사 구성에 의한 피동 표현에서 능동문의 주어는 주로 -에 의해로 실현됩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정부가 통일세 관련 특별법을 만들었다. → 통일세 관련 특별법이 정부에 의해 만들어졌다.

하지만 -에게, -에, -로(부터)가 실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진이는 민이를 길들였다. → 민이는 진이에게 길들여졌다.
  • 날카로운 말이 내 가슴을 할퀴었다. → 날카로운 말 내 가슴은 할퀴어졌다.
  • 흙이 그 자리를 메웠다. → 그 자리는 흙으로 메워졌다.
  • 세계 전체가 압력을 가했다. → 세계 전체로부터 압력이 가해졌다.

피동 보조동사 구성 -어지-와 관련해 특이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 넘어지다, 떨어지다, 쓰러지다, 무너지다, 부러지다, 자빠지다

위 동사들을 살펴보면 ‘넘어지다’와 ‘떨어지다’를 제외하면 어간의 어원을 밝혀적지 않는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무너지다’의 경우 ‘문다’라는 동사의 어간 ‘문-‘에 피동 보조동사 구성 -어지-가 결합해 ‘무너지다’가 되는 것이 윗 글에서 언급된 사례였습니다. 그러나 한국어에는 붕괴(崩壞)라는 의미의 ‘문다’라는 동사가 없으므로 특수한 사례로 취급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들 동사들도 피동의 의미가 있고, 그 짝이라 할 만한 타동사들도 있습니다. 그 타동사들은 능동문에서 -뜨리다를 취하면서 피동 표현시 그것을 -어지다로 바꾸어 규칙적으로 피동사를 만드는 듯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 넘어뜨리다-넘어지다, 떨어뜨리다-떨어지다, 쓰러뜨리다-쓰러지다, 무너뜨리다-무너지다, 부러뜨리다-부러지다, 자빠뜨리다-자빠지다

-어지-가 있어 피동 표현 같지만 피동문이 아닌 구문들도 꽤 있습니다. -어지-는 피동문을 만들 수 있는 타동사뿐 아니라, 그럴 수 없는 형용사/자동사와도 결합하기 때문입니다. -어지-가 형용사와 결합하면 상태 변화를 나타냅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날씨가 좋아졌다.
  • 길이 넓어졌다.
  • 여드름이 없어졌다.

-어지-가 자동사와 결합하면 어떤 힘에 의해 그렇게 됨을 나타냅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졸업을 하고 나니 선생님 댁에 잘 가지지 않는다.
  • 억지로 울려니까 잘 울어지지 않는다.

위 예문들은 의미상 피동과 상통하는 것 같지만, 짝이 되는 능동문이 없다는 점에서 특이합니다. 피동문은 ‘짝이 되는 능동문이 존재’하고, ‘동사에 피동 표지가 붙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형용사나 자동사와 결합한 -어지- 구문을 피동문으로 인정하기 어렵습니다.

한편 피동사에 다시 -어지-가 덧붙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개 -어지-를 군더더기로 써 잘못 쓴 경우입니다. 다음 예문의 경우 -어지-를 빼고 쓰는게 맞습니다.

  • 요즈음 젊은이들에게 잘 {*읽혀지는/읽히는} 소설
  • 생각{*되어지다/되다}

그런데 때에 따라서는 두 형태가 공존하면서 독자적인 영역을 만들어 가는 양상을 보입니다.

  • 이 논문은 주제가 매우 참신해 보인다(*보여진다).
  • 이 논문은 주제가 매우 참신하다고 보여진다(??보인다).

X되-, X당하-, X받-

어근(語根)이라 할 만한 요소($X$)에 되-, 당하-, 받-이 붙어 피동 표현을 만드는 경우도 잇습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정복하다-정복되다
  • 강요하다-강요받다
  • 모욕하다-모욕당하다
  • 배치하다-배치되다/배치받다
  • 오해하다-오해되다/오해받다

피동의 기능

피동의 기능 가운데 첫번째로 언급할 만한 내용은 행위자 논항에 스포트라이트가 비춰지지 않게 한다는 것입니다. 피동문으로 표현할 경우 행위자 정체를 모를 때 행위자를 표현하지 않을 수 있고, 행위자의 정체 또한 밝히지 않을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문처럼 누가 살인자인지 모르는 상황이라면 행위자 정체를 굳이 밝히지 않은 피동문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 능동문 : 누군가가 진이를 살해했다.
  • 피동문 : 진이가 살해되었다.

피동문은 피행위자 논항을 맨 앞에 적기 때문에 피행위자 논항을 부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 피동문은 사태를 (행위자 대신) 피행위자의 관점에서 기술한 문장이라는 말입니다. 다음 예문에서 그 뉘앙스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 능동문 : 민이가 진이를 잡았다. (민이가 잡았다는 사태를 부각)
  • 피동문 : 진이가 민이에게 잡혔다. (진이가 잡혔다는 사태를 부각)

피동문은 주제 연속성(topic continuity)을 보장합니다. 다음 예문처럼 연이어 있는 문장이라면 괄호 안 능동문보다는 괄호 밖 피동문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진이를 주인공으로 한 주제의 연속성이 보장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진이는 아침에 일어나서 밥을 먹고 학교로 향했다.

    진이는 길을 건너다가 차에 치였다. (차가 진이를 치었다)

    진이는 병원으로 실려 갔다. (구급차가 진이를 병원으로 싣고 갔다)

피동문은 주어에만 적용될 수 있는 통사과정을 피행위자에 적용하기 위한 사전 조처 성격도 있습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그$i$가 [$e_i$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려고 노력했다.

    *그$i$가 [당원들이 $e_i$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려고 노력했다.

능동문과 피동문이 대응을 이루지 않는 경우

능동문에 대응하는 피동문, 혹은 피동문에 대응하는 능동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유형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능동문의 목적어가 무정명사인 경우 능동문에 대응하는 피동문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진이가 칭찬을 들었다. / ?칭찬이 진이에게 들렸다.
  • 진이가 책을 다 읽었다. / ?책이 진이에게 다 읽혔다.
  • 진이가 문고리를 잡았다. / ?문고리가 진이에게 잡혔다.
  • 진이가 길을 물었다. / ?길이 진이에게 물어졌다.

의지나 의도를 가진 주체를 설정하기 어려운 경우엔 피동문에 대응하는 능동문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문과 같습니다.

  • *누가 날씨를 풀었다. / 날씨가 풀렸다.
  • *누가 더위를 한풀 꺾었다. / 더위가 한풀 꺾였다.
  • *누가 일을 산더미처럼 쌓았다. / 일이 산더미처럼 쌓였다.

능동문의 주어가 무정명사인 경우 피동문에 대응하는 능동문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문과 같습니다.

  • ?나무가 열매를 열었다. / 나무에 열매가 열렸다.
  • ?바람이 문을 열었다. / 문이 바람에 열렸다.

그 원인에는 동사, 상황, 인간 주어 중심의 한국어 특성을 반영한 게 아닌가 하는 해석도 제기됩니다. 영어와 비교해 세 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각각 위 세 가지 case에 대응됩니다.

영어는 사건, 속성을 명사구로 표현하는 일이 흔합니다. 반면 한국어는 동사, 형용사로 풀어 표현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 (공항 안내 방송에서) Your attention, please. / 안내 말씀 드리겠습니다.
  • He is a good swimmer. / 그는 수영을 잘 한다.

영어는 주어 자리에 인간을 놓는 경향이 강합니다. 반면 한국어는 인간을 전면에 드러내지 않고 상황 중심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I’ve lost a button. / 단추가 떨어졌다.
  • Finally we’ve come to conclusion. / 마침내 결론을 내렸다.

영어는 무정물을 주어로 한 타동 표현을 자연스럽게 사용합니다. 반면 한국어는 인간을 주체로 한 표현이나 상황 중심적인 표현으로 바꾸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 This road will take you to the station. / 이 길을 따라가면 역이 나옵니다.
  • Horror made her dumb. / 그녀는 두려워서 말 한 마디 못 했다.

한편 한국어에서는 피동문을 만들 수 없는 타동사들이 존재합니다. 이 경우엔 능동문에 대응하는 피동문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 선생님이 학생을 가르친다.
  • 진이가 심리학을 공부한다.
  • 이웃을 돕는다.
  • 아이들을 웃긴다.

피동과 타동성

피동의 정의상 타동문(목적어를 가진 문장)으로부터만 피동문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아울러 능동문의 목적어는 주어가 되고, 새로운 목적어가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피동문은 대개 자동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성에 예외가 좀 있습니다. 목적어가 있는 피동문이 존재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개가 토끼를 다리를 물었다. → 토끼가 개에게 다리를 물렸다.

위 예문의 경우 능동문에 목적어가 둘 있어서, 둘 중 하나(토끼)가 피동문의 주어로, 나머지(다리)가 피동문의 목적어로 남았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피동문의 주어가 무정물일 경우에는 수용성이 떨어집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철수가 책상을 귀퉁이를 잡았다. → ??책상이 철수에게 귀퉁이를 잡혔다.

다만 무정물이 특정 유정물의 소유가 되는 등 유정물의 이해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 수용성이 높아집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사람들이 내 차를 문짝을 수없이 긁었다. → 내 차는 문짝을 수없이 긁혔다.

위 예문(내 차를 문짝을)이나 첫번째 예문(토끼를 다리를)처럼 두 목적어가 전체-부분 관계일 때 목적어가 잔류하는 피동문이 가능한 걸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상위개념-하위개념, 대상-수량 같은 관계일 때에는 목적어가 잔류하는 피동문이 불가능합니다. 다음 예문과 같습니다.

  • 상위개념-하위개념 : 바둑이가 아이들을, 여자아이들을 물었다. → *아이들은 바둑이에게 여자아이들을 물렸다.
  • 대상-수량 : 주인은 강아지를 세 마리를 팔았다. → *강아지가 주인에 의해 세 마리를 팔렸다.

한편 아래 예문처럼 능동문에 목적어가 둘 있지 않아도, 피동 주어(아버지)와 목적어(비상금)가 소유주-소유물 관계일 때 목적어 있는 피동문이 성립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그것이 ‘피해’의 의미를 가질 때 잘 쓰입니다.

  • 어머니가 아버지에게서 비상금을 빼앗았다. → 아버지는 어머니에게 비상금을 빼앗겼다.
  • 진이는 월급을 깎였다. / *진이는 빚을 깎였다.



Comments